조경학전공
조경학전공
1980년에 신설된 조경학과는 인간과 자연의 상호관계를 전제로 모든 옥외 공간과 토지의 이용 및 개발·창조에 있어 보다 경제적·시각적·기능적으로 공간의 질을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학문을 교육하는 학과이다. 본 학과는 조경계획학, 경관계획학, 조경관리학, 조경 공학 및 시공학, 조경식물학, 경관생태 및 경관계획학의 연구실을 갖추고 있으며, 국토개발계획․각종 레져 시설과 대규모 단지 계획, 인간 심리와 행태, CAD 및 컴퓨터 활용 기술 등 인간과 관련된 쾌적한 환경 및 녹지조성을 위한 이론 및 기초 지식을 교육한다. 조경학은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경제가 발전하면서 대두되는 각종 환경 문제와 삶의 질적인 면이 강조되는 현시점에서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되는 학문이다
교수진 및 전공분야
교수진 | 전공분야 | 연구내용 |
---|---|---|
나정화 교수 | 경관 및 생태계획학 |
- 경관계획 - 공원녹지계획 - 비오톱 및 경관생태계획 |
정태열 교수 | 조경계획 및 설계 |
- 공원ㆍ녹지계획 및 설계 - 유적지 보존 및 경관복원 - 토목경관 계획 및 디자인 |
이형숙 교수 | 조경계획/환경심리 |
- 건강도시 환경계획, 환경행태·심리 - 치유환경 설계 - 생태미학 |
엄정희 교수 | 조경공학 및 GIS |
- 도시환경 분석을 기반으로한 공간환경계획 - 도시 미기후를 고려한 녹지공간 계획 및 설계 - 바람길숲 조성 계획 및 제도 등 |
김진효 교수 | 조경생태 및 관리학 | 조경생태 및 관리 |
취업 및 졸업진로
- 대학
- 국내외 대학, 전문대학의 석/박사급 연구원 및 대학교수 / 강사 / 조교
- 국가기관(공무원)
- 일반직 : 농림부, 환경부, 각 시도 산하 조경직 및 환경직
- 연구직 : 국립농업과학원, 농촌진흥청, 각 시도 농업기술원, 각급 농진청 산하 시험장, 국립환경연구원, 문화재연구소, 산림청,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농업환경공학관련 정부산하기관 등
- 기업체
- 종합건설회사, 조경면허업체, 조경설계사무소, 설계사무소 및 엔지니어링 회사, Golf장 등
- 정부투자기관 및 공공법인체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수목원,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한국환경공단 및 각 산하기관 등
- 자격중
- 조경기사, 실내조경기사, 도시계획기사, 측지 및 지형공간정보기사, 건축 및 토목 관련 기사, 환경영향평가기사 등
커리큘럼
1학기 | 2학기 |
---|---|
조경학원론 | 조경미학 |
공원녹지계획론 | 조경사 |
조경제도 및 실습 | 조경공학 |
조경측량학 및 실습 | 지피식물학 |
조경수목학 및 실습 | 설계표현기법 및 실습 |
공원설계 및 실습 | 조경관리학 |
정원설계 및 실습 | 환경심리행태론 |
조경시공학 및 적산 | 컴퓨터그래픽실습 |
조경수목관리학 | 식재계획 및 기법 |
경관녹지계획론 | 현장조경실습 |
경관녹지설계 및 실습 | 관광 및 휴양지계획 |
컴퓨터조경설계 | 도시 및 단지계획론 |
지역계획론 | - |
경관생태학 | - |
작품세미나 및 실습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