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업학과
농산업학과
농산업학과는 한국 농업을 이끌어 나갈 인력이 현저히 부족하고, 현 교육체계에서는 농업현장에서 일할 수 있는 유능한 인력을 수급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인지하고 무역자유화 및 디지털 시대를 맞아 우리나라 농업의 국제경쟁력 제고와 첨단경영기법의 실천을 주도할 수 있는 전문 영농인력의 양성의 필요성에 의해 농산업학과를 신설하였다.
학과 특성
농업계고등학교와 농업전문대학이 폐교되거나 타 분야로 전환되어 농업현장 인력양성 기능이 마비되고 있고, 농업관련 대학의 구조조정으로 현장 관련농업 경영 및 경제 관련 교육이 쇠퇴해 감에 따라 세계화 및 디지털 시대의 농업을 선도할 수 있는 제도적인 교육프로그램 마련이 절실히 필요하여 재직자 전형 맞춤형 학과개설하였다. 농업 재직자들은 크게 식량작물생산, 원예작물생산 및 축산에 종사한다는 것을 기반으로 농업생명과학대학 내의 관련 학과(식물생명과학전공, 원예과학과, 축산BT학부, 농경제학과) 교수 교수가 농산업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농산업학과는 주로 주중 야간강의, 주말(토요일) 종일 강의로 이루어지고 있고, 작물트랙, 원예작물트랙, 축산트랙으로 운영하고 있다.
교수진 및 전공분야
교수진 | 전공분야 | 비고 |
---|---|---|
이기환 교수 | 식량작물자원관리 | 농산업학과 전임 |
김경민 교수 | 작물분자육종학 | 식물생명과학전공 |
윤병욱 교수 | 식물분자병리학 | 식물생명과학전공 |
김병수 교수 | 원예작물 | 원예과학과 |
윤태명 교수 | 원예작물 | 원예과학과 |
여준호 교수 | 유통 | 농업경제학과 |
박영식 교수 | 축산 | 축산BT학부 |
커리큘럼
구분 | 1학기 | 2학기 | ||||
---|---|---|---|---|---|---|
학년 | 과목번호 | 과목명 | 비고 | 과목번호 | 과목명 | 비고 |
1 | 선진농장 실습 1 | 집중 | 선진농장 실습2 | 집중 | ||
농작물전자상거래 실습 1 | 집중 | 농작물전자상거래 실습2 | 집중 | |||
2 | 농촌경제의 이해 | 농산물 수확후 관리 | ||||
농축산물 유통 및 마케팅 | 농업경영의 이론과 실무 | |||||
농업기계의 이해 | 농산물 가공 및 실습 | |||||
해외 선진농업 견학 및 실습1 | 집중 | 선진농장 실습3 | 집중 | |||
농업기계 실습1 | 집중 | 영농설계 실습 | 집중 | |||
3 | 밭작물 생산기술 및 실습 | 과수재배신기술 및 실습 | ||||
작물생산이론 | 농작물 영양관리 및 실습 | |||||
벼 생산기술 및 실습 | 농작물 품종개량 | |||||
농작물 병해충 관리 및 실습 | 농업기상과 재해예방 | |||||
원예작물생장조절기술 | 기능성작물 생산 및 산업화 | |||||
시설환경관리기술 및 실습 | 사료 생산 가공 및 실습 | |||||
채소재배신기술및 실습 | 가축번식기술 및 실습 | |||||
동물과 가축 | 가축전염병 및 예방 | |||||
동물육종 기술 및 실습 | 축산시설 기계 및 실습 | |||||
주요가축질병 및 처치 | 친환경농업 이론과 실습 | |||||
선진농장 실습4. | 집중 | 해외 선진농업 견학 및 실습2 | 집중 | |||
농업기계 실습2 | 집중 | 농촌관광 실습 | 집중 | |||
4 | 농업회계의 이론과 실무 | 농업정책의 이해 | ||||
글로벌 농업의 이해 | 생명공학과 농업 | |||||
작물 신소재 개발 | 식물산업 및 벤처창업 | |||||
화훼조경의 이론과 실제 | 시설원예기술 | |||||
고품질축산물 생산기술 및 실습 | 축산폐기물과 환경보전 | |||||
축산식품가공 기술 및 실습 | 브랜드축산물유통 | |||||
선진농장 실습5. | 집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