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 등록일
- 2020-09-22
- 작성자
-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 조회수
- 594
(농업토목ㆍ생물산업공학부-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 발전계획 및 특성화 계획
학과 비전 및 목표
❍ 학과 비전
농업을 ‘High tech’ 및 첨단산업으로 발전시키시킬수 있는 우수한 공학도 양성 |
생물산업기계공학과는 기계ㆍ전기전자ㆍ환경ㆍ바이오 등 새로운 패러다임의 학문을 생물산업분야에 접목시킨 복합응용학문을 교육하고 연구하는 학과이다. 본 학과의 구체적인 비전은 생물산업을 ‘High-tech’ 산업으로 발전시킴으로써, 변화하는 산업 패러다임에 적응하여 ‘Bio-oriented’하게 특성화하여, 기계화ㆍ자동화함으로써 ‘Productive’하고, 생산과 소비의 모든 분야에서 인간 친화적이어서 ‘Pleasurable’하게 발전시키며, 산업으로서 이익을 창출하는 ‘Profitable’하도록 이끄는 것이다.
❍ 학과 목표
우리전공의 목표는 ABEEK(공학인증)과 연계하여 ① 바이오와 기계ㆍ전기전자공학을 융합한 생물산업기계공학도 양성, ② 생물기계공학, 생물가공 공정공학, 생물생산 자동화공학, 시설원예기계설비, 바이오에너지공학, 친환경 생물생산 등 다양한 생물산업기계분야에 대한 전문가 양성, ③ 시대와 학문 패러다임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생물산업기계공학도를 양성하는 데 있다.
❍ 전국 생물산업기계공학관련 학과중 유일한 공학교육인증 시행학과
-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은 2006학년도부터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인 “ABEEK”을 시행하고 있으며 졸업후에는 공학사 학위를 수여받는다.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에서는 전문교양 18학점, 전공기반(MSC) 30학점, 공학전공(설계학점 12학점 포함)60학점 이상을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공학교육인증의 목표는 산업현장 및 고등교육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으로 수학 및 역학의 기초실력향상과 설계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중요시 하고 있다.
❍ 학부 학생들의 종합설계의 교내외 수상 및 특허출원
- 본 전공에서는 3학년까지 공학전공 및 전문교양, 전공기반교과목을 이수하고 4학년의 1년동안 종합설계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종합설계프로젝트 시행으로 학생들의 창의성과 무한한 가능성이 최대한 도출되어 학부생 특허출원은 물론, 학교 및 학회, 외부, 국제적 여러 대회에서 우수한 실적을 거두고 있다.
추진 계획 및 추진전략
구분 |
추진계획 |
핵심추진전략 |
교육 |
◆ ABEEK 인증유지
◆ 교육환경개선 사업
|
- 공학교육인증에 따른 교육과정 개선 - 설계교과목의 교과내용 개선
- 컴퓨터 실습실 정비ㆍ보완 - 종합설계실 및 기초창의설계실의 정비와 보완 - 실험ㆍ실습실의 기자재 확충 및 실습교육 확대 |
연구 |
◆ 연구기반 혁신
|
- 연구인력 확보 : 겸임, 객원, 석좌교수 초빙활용, 장학조교, 대학원생 증원 - 연구의 벤처사업화 - 학생의 연구실 연구활동지원 - 산학융합 연구교육체계 |
학생 |
◆ 우수학생유치
◆ 학생지도개선
◆ 현장교육 강화
◆ 평생교육활성화
|
- 학생 모집 및 학과홍보 체계적 실행
- 학생 상담의 내실화 - 학생활동의 권장(봉사활동 등)
- 현장실습의 확충 내실화
- 선후배 멘토링 확대 실시 - 졸업생 간담회 확대 실시 |
행정 |
◆ 학과자체 발전 활성화
|
- 학과자체평가수임 - 학과발전기금운영 - 학과 홈페이지 운영의 내실화 |
국제화 |
◆ 국제감각 제고
|
해외 인턴쉽 및 해외 농업현장 연수지원 외국어 능력 향상 우수 외국인 학생 유치 |
추진 계획에 따른 핵심추진과제
구분 |
발전계획 |
핵심추진과제 |
교육 |
◆ ABEEK 인증유지
◆ 교육환경개선
|
-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교과과정 수정 - 산학연계 교과과정 수립 - 재학생 대상 특성화 분야에 대한 지속적 교육 - ABEEK 교과과정 정비 - 프로그램 운영방법 및 체계정비 - 설계프로그램 확충 및 운영 - 컴퓨터 실습실 수리 및 보완 - 실험ㆍ실습실의 기자재 확충 |
연구 |
◆ 연구기반 내실화
|
- 연구인력 확보 : 겸임, 객원, 석좌교수 초빙활용, 장학조교, 대학원생 증원 - 연구의 벤처사업화 활성화 - 특화연구실 운영확대 - 산학융합 연구교육체계 마련 |
학생 |
◆ 학생지도개선
◆ 현장교육 강화
◆ 취업률 증진
|
- 학생 상담 관찰의 내실화 - 학생지도의 체계수정 및 보완 - 현장실습 확대 운영 실시 - 생명ㆍ의공학 분야로의 진출방안 마련 - 취업준비생들에게 바이오메카트로닉스 분야에 대한 다양한 정보 제공 - 졸업생 간담회 확대 실시 |
행정 |
◆ 중장기 발전계획 점검 |
- 학과발전기금운영 - 학과운영에 따른 정비 및 개선 |
국제화 |
◆ 국제감각 제고
|
학부 교과목의 외국어 교육 어학능력향상을 위한 지원 - 학과 내 어학동아리 결성 및 지원 해외 인턴쉽 및 해외 농업현장 연수지원 |
기 타
❍ 본 학부의 발전과 특성화를 위하여 각 전공의 우수한 교원 및 공학교육인증 예산의 확보가 필요함.